top of page

덕도경 제 8장

제8장

第八章:

上善若水。

水善利万物而有静,居众人之所恶, 故几于道矣。

居善地,心善渊,予善天,言善信,政善治,事善能,动善时。

夫唯不争,故无尤。

上善若水。

상선약수 : 상위단계 선은 물과 같아!

이거 노자에서 나오는 말 중 아주 많이 응용되는 말이지 않던가?

갑자기 선행 강조?

노자의 문장 구조를 보면, 점진적이다.

성질 설명 - 성질을 다른 방식 설명 - 성질의 일부응용 - 성질의 응용

이건 같은 장안에서도 같은 방식으로 이뤄진다.

즉 앞에서 선악 분별심 치우라며, 성인은 백성을 개(?)보듯 한다며, 이게 무슨 자기 모순이냐? 그렇게 보면 안된다.

우선 "상"

이미 위라고 하니까, 왠지 분별심 같지 않냐?

선마저도 등급을 나누네 ,,,, 상선, 중선, 하선 그런게 있는게 아니야?

상선은 도에 합치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

선악의 선을 의미하는게 아님

오히려 어떤 완성된 상태를 의미한다고 보는 것이 더 맞지 않을까?

왜 이렇게 해석하냐?

水善利万物而有静,居众人之所恶, 故几于道矣。

사실 이건 많이 퍼져있는 버전에서는 静이 아니라 争으로 퍼져있다. 그러나 静이 맞다고 본다.

물이 다투지 않는다. 홍수는? 인류 대멸망은 홍수로 이뤄졌다면서, 왜 물이 맨날 범람해서, 수리공정이 문명의 중요 요소야?

물은 안정/고요한게 더 맞는것

물은 만물을 이롭게 하지만, 조용하다. 자꾸 청정경을 이야기해서 미안한데, 결국 청정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도에 합치하는 것이라는 내용

그렇기에, 이 정이라는 것은 도에 합치하는 방법론과 같기에 더욱더 이 버전이 맞다는 것

물은 만물을 이롭게 하나 조용한 상태로 있고, 사람들이 싫어하는 곳에 있다.

그렇기에 도에 가깝다.

이게 기본 문장 해석인데

거기다가 상선약수의 선과, 수선리만물의 선은 한자는 같지만 뜻이 다른 것, 수선리의 선은 능하다는 뜻, 잘한다.

이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버전에서는 선한것은 물과 같은 성질이라, 아래로 내려가고 다투지 안니 하고, 남들이 싫어하는 곳 (아래로 흘러가니) 도와 같네. 이런 이야기처럼 보이고, 그럴듯 하지

그러나 다투다가 아닌 고요하다가 되는 순간 이야기가 조금은 달라짐 (큰 틀은 비슷하나)

그렇다면 이 물과 같은 것은 높은곳에서 아래로 흘러내리는 물이 아닌 것

즉 물의 또 다른 속성을 이야기 한 것

만물을 이롭게 하는 물은 고요한 것

청정경 기억하나?

청정의 상태를 유지하라

맑고 깨끗하고 고요한 상태

맑고 깨끗함의 대표가 물 아니야?

그렇지만 홍수, 범람하는 물, 막 퍼붓는 물은 이롭지 않잖아.

만물을 이롭게 하는 물은 고요하게 존재하기에, 사람들이 마시고, 농사도 짓고, 씻고, 지구의 온도도 조정하고…

그렇지만, 사람들은 가끔, 아주 가끔 물의 존재에 감사를 느낌

목마를때나

평소에는 샤워하면서 물을 낭비하던, 마실 물 샀다가, 한 두모금 마시고 버리거나 , 어쨌던 공기처럼 소중함을 잘 안 느끼는 것, 부족하기 전까지는

그리고 야… 날 소중하게 생각해라 하고 난리치지는 않지

물론 가뭄이 들면 다 소중하게 생각하지만

사람 물 안마시면 얼마나 버텨?

사람의 몸은 수분이 대부분, 12%를 상실하면 죽음. 대략 3일 정도 물 안마시면 죽어버림

물없으면, 곡식은 있나?

식물은 있나?

우리의 몸의 65-70%는 물

자.... 이게 바로 도는 물과 비슷해 같지 않나?

도에서 만물이 나왔어

그럼 사람들이 싫어하고, 안좋아하는 곳에 머문다라고 해석하냐는 문제에 접하게 되지

악을 과연 싫어한다고 해석해야 하냐? 악한것으로 해석해야 하냐?

그럴리가 있냐고? 언제 물이 악한곳? 악한곳이 도대체 어딘데?

중인은 사람들이라는 뜻인데 ,

게다가 선과 악을 반대 개념으로 보면, 상선 = 수 라면서

악은 그럼 반대 아니야? 그렇지만 도는 모든것을 포함한 개념인데, 그럼 모순 덩어리잖아.

이러면 이 로직이 이상하잖아.

그럼 역으로 생각해보자

사람이 좋아하는 곳은 어디?

해변? 공기 좋고 날씨 좋은 곳?

장소라면 그럴지도

위치를 논한다면,

높은 자리

돈많고 봉사하기 보다는 봉사를 받는 자리를 원하지 않나?

들어나고, 나를 위하는 것

나를 이롭게 하는 것

그럼 물은 물을 이롭게하지 않지 않지

타인을 이롭게 하지

나서지도 않고

맑고 깨끗한 물로 오물을 씻어내리지

변기속의 물

인간이 만든 오물을 씻어내리는데

사람보고 변기속에 들어가라고 하면 잘도 들어가겠다.

맑고 깨끗하니까, 더러움을 씻어내릴수 있는 것

내 마음이 더럽고 오물 투성이라도

맑아야 씻지

그렇기에

사람들이 싫어하는 곳에 위치할 수 있는 것

왜? 분별심이 없으니까

이건 더러워, 이건 싫어

그런 마음이 있으면 거기 못가는 것

즉, 물의 성질은 가리지 않는 다는 것

그렇기에 故几于道矣

도에 가까워

결국 지난번에 풀무가 도랑 비슷한 부분을 이야기 한 것 처럼

물이 도와 비슷한 것을 이야기 한 것

도는 어디에나 존재하고, 가리지 않아

居善地,心善渊,予善天,言善信,政善治,事善能,动善时。

선은 선악의 선이라기 보다는 "도에 합치"라고 보는 것이, 뜻이 더 정확하게 이 문장을 이해할 수 있음

도의 성질을 이야기 했으면,

현실 세계에서 어떻게 그 것이 적용되는지 이야기할 차례 아니던가?

居善地

거를 거주한다고 보면? 말이 안 통함

도에 합치되는 사람이라면, 어때야 한다를 이야기 하는 것

거는 일종의 위치를 의미하는데, 그것이 사회적 위치일수도 있고, 지리적 위치일수도 있지만, 사람에게 적용한다면 당연히 사회적 위치겠지 . 지는 지역을 의미하는것이 아니라, 아래를 의미하는 것. 즉 도에 합치된다면, 내 지위, 위치에 구애받지 않는 것.

사람들이 싫어하는 곳, 안좋은 곳에도 위치할 수 있어야지

분별심이 존재하는 순간 내가 있어야 할 곳을 가리고, 따지겠지

그럼 이런 의문이 드는 사람이 많을거다

이러면 사회생활 어케 하냐?

나는 사회생활할때, 꼭 남들이 싫어하는 일 했다. 어렵다는 일, 불가능하다는 일, 혹은 바보짓이라고 하는 일

왜? 음과 양은 전환하기에

남들이 좋아하는 것은 결국 그쪽으로 에너지가 모이고, 그럼 그 반대편의 빈공간은 무언가 채워줘야 하는 것.

기업도 마찬가지

태양광이 좋아, 그럼 거기로 다가고

전기자동차가 대세야 그럼 다 거기로 가고

우선 벤치마킹을 한다는 것 자체가 사실 의미가 없는데

벤치마킹이 기법인것 처럼

환경, 보유 인력, 시스템 모든게 다른데

말은 그럴듯 한데,

그렇기에 타인이 싫어하는 곳이 기업에게는 기회일수도 있는 것이지

혹은 타인이 관심이 없는 영역

메모리 반도체 - 시스템 반도체를 1등 하겠습니다.

그런 것은 실무자의 머리에서 나오는 것이겠지

게임체인저는 안보이는 곳에 있을 것

心善渊

그럼 마음이 도와 합치된다면, 연은 깊은 물을 의미하잖아. 깊이가 있어야 수용을 하지

도는 그 한도가 없이 크니까, 내가 도에 합치한다면, 아주 깊은 물처럼 다 받아들일수 있어야 하지. 결국 대도를 깨닿는 다는 것은 모든것이 하나라는 것을 알게되는 것이 아닐까?

얕으면 수용을 못하니까

사람이 타인을 수용 못하고

기업체가 정보를 제대로 수용 못하는 것은

관점과 원칙이 있어서가 아닐까?

내 관점, 내 원칙이 나를 타인과 구별 시켜주지만

결국 세상을 왜곡되게 보게 하기에

予善天

여는 주는 것

주는 것 만큼

도에 합치되는 것이 있을까?

사욕이 없다는 것, 앞에서도 많이 설명을 했기에

주지만, 준다는 것을 의식하지 않는 것

그것이 도인것

주는 사람이 호구처럼 보이나?

그럼 당신은 호구랑 함께 하고 싶나? 이익만 생각하는 사람과 함께 하고 싶나?

베푸는 기업이 좋던가? 악착같이 당신에게 돈을 벌어 갈려는 기업이 좋던가?

言善信

언어가 도에 합한다는 것, 그건 무엇일까?

말은 아주 중요하다.

사람이 만약 언어가 없고, 마음과 마음이 그대로 통하는 형태, 텔레파시로 소통한다면, 세상에 거짓말이 존재할까?

거짓이 존재하기에 인간인 것이지만

신은 무엇인가? 믿음

믿음은 어디서 나오나?

변치않는것에서 나오지 않던가?

내가 말한것이 변하면, 신뢰가 없다고 생각하지 않겠냐?

도의 특징이 무엇인가? 변화하지만 변치않는 것

무한한 흐름

사리사욕이 없는 상태

우리는 우리의 기대와 현실이 맞아 떨어질때, 그것을 신뢰하는 경향이 있지 않던가?

일론 머스크가 테슬라 자동차 이야기 할때

10년은 사람들이 사기꾼이라고 하지 않았던가?

실제 만들어져서 팔리고, 그것이 실제로 대단하고, 실제로 수익이 나고 나서야, 믿기 시작하지 않던가?

그렇지만, 일론 머스크의 트위터 한방에 주가가 막 폭락하고, 그걸 리스크라고 여전히 이야기 하지 않던가?

짧은 단기간으로 볼 때 거짓말 처럼 보이는게, 긴 시간의 각도로 보면 진실일 수 있다.

사람은 결과만 인식하기에 그런 경향성이 있고

사람은 자신이 가진 지식의 범주 안에서 세상을 판단하고, 재단하고 자기만의 틀로 세상을 보기에 올바른 판단을 못하고, 지혜가 없는 것

말이 도에 합치되면, 그것은 신뢰를 가져오게 된다.

너 맨날 왜 당연한 이야기만 하냐?

원래 진리는 당연해야 진리 아니던가?

맞는 이야기가 진리인 것

시대가 흘러도

현재 인간들이 악하다고 , 진리가 악하게 변하는것이 아닌 것

이익만 추구하는 세상이 왔다고,

진리가 이익 추구이던가?

政善治

정치 .. 정치가 도에 합치해야, 제대로 다스릴수 있는 것

왜 우리는 맨날 정치가들을 욕하나?

정치가들은 다스리는 것을 잘 해야 하는데

도에 합치한다면, 사적 욕망이 없어야 하나,

요즘 정치인들은 이익을 위해서 정치하니까, 욕하는 것

정권창출에만 관심이 있고,

당파는 특정 사람(표주는)의 이익에만 관심이 있으니, 이는 도와 거리가 먼것

도에 합치한다면, 공평해야 겠지

제대로 다스리는 것은 틀어진것을 제대로 잡아줘야

음양의 균형을 맞춰줘야

쏠리면, 결국은 음양의 변화가 오는 것

다스리는 것이 "규제", 균형을 맞추는 것이 "규제"라고 착각하는 사람들이 정치를 하기에

말 많은 사람 , 행동하지 않는 사람이 정치를 하기에

민주주의는 결국 투표자의 평균 수준에 맞춰지는 제도라 도에 합치한다는 것 자체가 어려운 제도가 만능이라고 생각하고 시스템이 만능이라고 생각하고

유위에만 신경을 쓰느라, 무위를 놓치는 것

도는 포용을 해야 하거늘, 늘 정치는 적을 만들어 공격하는 가장 쉬운 행동을 하나

그들이 잊고 있는 것은

한나라임

높이 올라가서 세상을 보지 않으니

다툴것 투성이고

포용을 하지 않으니

상대는 잘못 투성이고

내가 빛과 광명을 가질려고 하니, 상대가 어둠이자 악인것

그럼 진짜 나는 빛이냐?

정치인들은 말에 신뢰가 없기에 도에 합치되지 못하고 있고,

이득을 따지는 것을 똑똑한 것이라고 생각하기에, 타인의 이득을 빼앗는 것을 서슴치 않고

그걸 좋다고 뽑아주는 사람도 똑같은 사람인 것

너도 악하니, 나도 악해야 해, 그래서 악의 평준화

부분만 보고, 부분을 확대 해석하니, 도에 합치 될리가

事善能

일이 도에 합치되면, 제대로 잘 할 수 있는 것

내가 무슨일을 할 때, 사욕을 추구하지 않고, 포용하고, 한결 같고, 믿음을 주고, 모든이가 나로 부터 이익을 얻는다면, 그런 일하는 방식으로 일하는 사람을 능력자라고 하지 않던가?

물론 호구라고 해도 됨

그러나 오늘의 호구는 내일의 능력자

사람들이 나한테만 일을 줘, 내가 일 젤 많이 해, 내가 경험치가 젤 높아.

결국 누가 이익이고, 누가 능력을 얻은거냐?

일을 미루고, 계산하고, 작은 이익을 탐해서

저놈이 나보다 1시간 적게 일했는데, 나보다 고과가 좋아?

그런거 따지면서, 진한심 키우고, 집착하면

자… 10년뒤 모습은 어떨까?

어떤이는 능을 화목으로 해석하기도 하지만, 그건 너무 협의라고 봄

진정으로 도와 합치되면, 어떤 결과가 나오는지를 이야기 하고 있는 것이라고 봐야 됨

动善时。

움직임이 도에 합치하면, 적기인것

언제 움직이고, 언제 멈춰야 하는지 아는 것

움직인다는 동을 봤다고

움직이는 것만 본다면, 그건 도를 모르는 것

움직이는 것을 보면, 멈추는 것도 봐야 하는 것

인생은 늘 타이밍임

결혼도 타이밍

정연? 놓치면 다시 잡기 어려움

많을것 같지, 끝없을것 같지

주식이던 집이던, 살 타이밍 놓치면 비싸게 사는것이고

팔 타이밍 놓치면 싸게 파는 것

도에 합치된다는 것은

언제 움직이지는 알고

언제 조용히 있을지 아는 것

세상이 움직이면, 나는 멈추고

세상이 멈추면, 나는 움직여야 함

그것이 평형을 찾는 것

도리는 쉬운데 실천이 어렵다.

그건 몰라서 그런것

안다고 착각하니까, 쉽다고 느끼는 것

夫唯不争,故无尤。

다투지 않으면,

더 정확하게 말하면, 쟁취하지 않으면,

걱정이 없어진다.

왜? 쟁취를 하고, 다투지?

욕망이 있으니까?

가질려고 하니까

7가지 도에 합치되는 행동이 가져오는 결과를 이야기 했고,

마지막으로 하는 말,

욕망을 버려라, 그럼 걱정이 없어진다는 이야기

사람의 모든 문제는 과한 욕망에서 나오니까

도법자연, 자연 그대로의 상태를 유지하면 걱정이 없는 것

더 얻을려고 하니까, 잃는 것

내가 얻을수록, 무언가는 결국 잃게 됨

내가 억지로 취하지 않으면, 오히려 맑고 고요한 상태로 갈 수 있는 것






조회수 74회댓글 5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어제 어느 신문을 읽는데 요즘에 강력 범죄는 처벌이 약해서라고 이야기하는 댓글들이 달린것을 봤다. 실제로 강력범죄가 증가하는지는 모르겠지만 신문에 보이는 것은 증가해 보인다. 뒤져 보니 정확한 통계는 못 찾았지만 증가 추세인것도 맞는 것 같다. 인구 증가도 고려하던 뭘 하던 증가하고 있는것이 사실인 듯 어쩐지 지옥에 사람들이 넘쳐 난다고 하더니만 범죄가 형

http://paper.people.com.cn/rmrbhwb/html/2023-09/12/content_26016509.htm 이상한 일 중국에서 천식 유행 첨에는 사람들이 천둥번개가 많이 친후에 천둥번개가 꽃가루 작게 분해해서 사람들이 천식 걸렸다고 번개로 인한 천식병이라도 했지만 어쩌면 다른 원인일수 있다는 것 소문은 방사성 물질 ...노출이란 이야기

게시물: Blog2_Post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