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변혁

중국의 최근 변화는


공산화로


사회가 효율성 추구


거기에서 공평 경쟁


소비 강화로 바뀌는듯



사실


부동산 정책이 과거에는 불균형을 만든게


중국은 명문 초등, 명문 중등, 명문 고등 이걸 나와줘야 하고


명문초등에서 명문 중등으로는 몇명 간다. 그 한도를 정해줌. 예를 들면 명문 초등은 한번에 5명 어느 학교 진학가능


그런데 그게 아니면, 한 학년에 3명 이런식인것


그래서 명문 초등을 가는게 아주 중요한데


그 방법이 집을 사야 했음


임대로 사는 사람은 살아도 인정이 안된 거고, 그래서 .. 좋은 학구집은 허름한 작은집이 한국돈 30억 씩하고 그랬던거


그걸 지금 제도 개선으로 뺑뺑이 시키고


예전엔 그 집 사면 200% 어느학교 진학인데... 지금은 모르겠다 ...거기에


임대와 구매 동일한 권리를 누리게 제도 개선...


이런게 결국 다 소비강화로 귀결


국가 발전전략이


소비와 제조업 강화


인터넷 사업은 누르는 형태로 가는


인터넷 사업이 실질적 도움이 별로 안된다고 보는 듯....


금융과 인터넷 사업은 새로운 가치 창조가 아니라


불평등만 조장한다고 보는 듯 하다.


조회수 84회댓글 3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https://www.chosun.com/opinion/column/2023/11/09/OIRHDOK7G5G3PMZ4A6K3X7TY2M/ 민주주의라는 제도는 결국 국민의 격 싸움이라는 생각이 든다. 국민의 격이 나라의 격을 만든다. 정치인 욕할것도 없다.

게시물: Blog2_Post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