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중국 - 인재 2

  • 2022년 1월 19일
  • 1분 분량



중국인 인재들을 고용한다는 것은 우선 훌륭한 생각이기는 하다.


그렇지만


중국인이면 되는거냐?


이것도 중요한 디테일



자 생각해보자, 어느 외국 기업이 한국에 와서


현지화, 본토화라고 한국인만 쓰면 성공하던가?


성공할 능력을 갖춘이를 뽑아야


한국도 중국 못지 않은? 혹은 더 심각한 인맥 사회 이기는 하지만


그게 직장내 성패는 가를 지언정, 기업의 성패를 가르던가? 물론 대통령 아들이면 이야기가 다를수도 있는데



중국은 크고 넓기에 모든 분야에 인맥을 가진 이는 없다고 봐야 함


업계내 인맥


지역내 인맥


이 2가지로 구분해서


중국의 지역 텃세는 생각 보다 크고, 지역별 차이도 생각보다 크다.


그래서 중국인이면 된다? 그런 생각은 버려야.



또 중국인에게 완전 맡겨 버리면, 내가 생각하는 방향과 다르게 흘러가기 쉽다.


중국은 법치가 좀 약한 나라


또, 어떤 중국인에게 인사권을 줘 버리면,


그 사람과 사적 인맥이 있는 이들로 회사가 가득 차게 될 수 있고


중국인내 권력 다툼


혹은 중국인 활용의 극대화가 이뤄지지 않는다.


왜냐면, 사적 인맥 구성이면, 결국 그 인맥이 그 인맥임



한국인들에게 충성 기대도 어려운데


외국인에게 충성은 …….. 좀 기대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게다가


솔직히 인재를 얻어도 제대로 활용할 수 있냐? 그것 되게 어렵다.


예전에 어떤 중국 지사장 정말 능력자인데


회사에서 내려보낸 한국인 상사


갈등이 있어서, 그 능력자 중국인이 회사를 떠나고


그 결과 나중에 그 중국인 스스로 크게 성공


이런 사례 많다.



또, 명문대에서 데려온 어린 중국 직원들 이직하지 않고


한국 대기업에서 썩다 보면, 10년뒤에 자기 동기들은 큰 성공했는데


자기만 아무것도 아닌 케이스가 엄청 나온다.


이것은 한국은 여전히 나이, 연공서열이 알게 모르게 작용하는데


중국 기업은 대형 국영제외하고는 철저한 능력제가 많아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객관적으로 평가를 할려면

우선 에이아이를 시켜서 조사를 해봤어 귀찮아 실제 업무라면, 직접 인터뷰도 했겠지만 각 나라 사이트를 검색하라고 시켰거든 먼저 태국 ✅ 좋음 주요 이유: 편리한 교통과 친절한 사람들 : 서울의 지하철 시스템이 편리하고, 한국인들이 친절하다는...

 
 
 

1 Comment


Unknown member
Jan 20, 2022

오...중국은 연공서열보다 훨씬 더 능력제 사회군요 ㅎㅎ

Like
게시물: Blog2_Post

Subscribe Form

Thanks for submitting!

©2020 by Fun易. Proudly created with Wix.com

bottom of page